분류 전체보기 44

[2021.09.02] #1. 2021년 최대 보안 이슈 랜섬웨어, 국내 현황과 대응책 집중진단

https://m.boannews.com/html/detail.html?idx=100260 2021년 최대 보안 이슈 랜섬웨어, 국내 현황과 대응책 집중진단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랜섬웨어 공격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21년 발생한 랜섬웨어 공격 피해액은 2020년과 비교해 102% 증가했으며, 그 금액은 한화로 약 22조원에 m.boannews.com 국내에 랜섬웨어로 인한 피해를 입은 산업 분야가 다양해지고 있고, 피해액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밝혀졌다. 랜섬웨어는 한 번 감염이 된다면 회복성이 어렵고, 랜섬웨어의 공격 유형이 다양해지고 심화되면서 이전의 랜섬웨어의 개념보다 더 광범위해졌다. 이전의 랜섬웨어 공격이 소규모 PC에 대한 1회성의 공격이었다면, 최근에는 ..

뉴스 클리핑 2022.05.11

[2022.10.15] #6 다시 주목 받고 있는 기업 보안의 패러다임, 제로 트러스트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zero_trust.html 다시 주목 받고 있는 기업 보안의 패러다임, 제로 트러스트 다시 주목 받고 있는 기업 보안의 패러다임, 제로 트러스트 www.samsungsds.com 기업의 IT 시스템은 중요하고, 급변하는 근무 형태에 따라 클라우드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플랫폼을 사용하여 업무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사용 범위도 변화하였다. 기존의 기업 IT 시스템은 기업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사용했지만 현재는 프라이빗 5G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일반 네트워크도 다수 사용한다. 신기술이 증가하는만큼 대응 보안 기술이 따라가지 못하고, 대응이 늦어짐에 따라 보안에 대응하는 실정이다. 현재의 시스템은 경계보안 모델 방식이..

뉴스 클리핑 2022.05.11

[2022.10.05]#5 [CIAM②] 고객 경험 개선 위한 CIAM 필요 - 데이터넷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9800 [CIAM②] 고객 경험 개선 위한 CIAM 필요 - 데이터넷 [데이터넷] CIAM에서 요구되는 많은 기능은 IAM과 유사하며, 점점 더 중복되는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그래서 고객 계정 관리뿐 아니라 임직원, 파트너, 계약직원을 위한 IAM에도 CIAM이 접목되고 있 www.datanet.co.kr CIAM1에 관련된 기사에서는 어떤 종류의 사용자(보안에 대한 인식이 없는 사람, 서비스에 대한 이해도가 없는 사람)도 안전하게 계정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용자가 정상적인 환경에서 자신의 의지로 서비스에 접근하고 거래를 요청하는지 여부를 알고, 사용자 인증과 접근 통제 정..

카테고리 없음 2022.05.11

[2022.09.25] #4 [CIAM①] 고객 계정 관리로 서비스 경쟁력 높여야 - 데이터넷

https://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9745 [CIAM①] 고객 계정 관리로 서비스 경쟁력 높여야 - 데이터넷 [데이터넷] 사용자 계정을 유출해 피싱, 금융사기 등에 이용하는 사고가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19로 애플리케이션 사용이 늘어나면서 공격은 더 늘어나고 있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계정을 안 www.datanet.co.kr 본 기사에서는 사용자 계정의 피해 사고를 언급하고, 현재 나와있는 방어로 사용자들이 계정을 안전하게 관리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보통 일반 사용자들의 입장에서는 보안의 관점에서 계정을 관리하지 않는다. 보편화되어있는 SNS계정을 이용한 간편 로그인이라던지, 혹은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복잡한 비밀번호면 보안으로부터..

뉴스 클리핑 2022.05.11

[2022.09.17] #3 되돌릴 수도 없는데... 클라우드의 악순환, 우리 스스로 자초했다

https://m.boannews.com/html/detail.html?tab_type=1&idx=100826 되돌릴 수도 없는데... 클라우드의 악순환, 우리 스스로 자초했다 클라우드를 향한 공격자들의 관심이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다. 사용자 기업들이 유연성과 확장성 때문에 클라우드로 이주하려고 한다면, 공격자들은 제대로 보호되지 않은 데이터와 애플리케이 m.boannews.com 클라우드 환경으로 인해 저장공간의 확장성의 측면에서 편리함을 가져다주었지만, 기술의 향상과 더불어 해킹 시장 또한 기존의 클라우드 크레덴셜만 공격하던 해킹 기법에서 클라우드 멀웨어까지 개발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클라우드 환경으로 서버도 바꾸고, 저장소를 바꾸는만큼 이에 대한 보안 또한 강화해야될 필요성이 생..

뉴스 클리핑 2022.05.11

[2021.09.09] #2 [보.알.남] 디지털 파일에 희소성을 더하다, 대체 불가능 토큰(NFT)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99846&page=1&kind=5 [보.알.남] 디지털 파일에 희소성을 더하다, 대체 불가능 토큰(NFT) 히스토리 채널을 통해 방영되는 리얼리티 쇼 ‘전당포 사나이들(Pawn stars)’에서는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거나 희소성이 있는 물건을 팔기위해 전당포를 방문하는 사람들이 종종 등장하며, 이러 www.boannews.com NFT는 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능한 토큰이라는 의미로 블록체인을 통해 디지털 파일에 증명서를 붙이는 기능이다. 고유성을 띠는 디지털 콘텐츠에 NFT를 통해 희소적인 가치를 부여한다고 볼 수 있다. 데이터를 하나의 가치로 판단하는 의미가 되기도 한다고 생각한다. 예술품에 NFT를 ..

뉴스 클리핑 2022.05.11

1012번 유기농 배추

유기농 배추 문제 차세대 영농인 한나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유기농 배추를 재배하기로 하였다. 농약을 쓰지 않고 배추를 재배하려면 배추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한나는 해충 방지에 효과적인 배추흰지렁이를 구입하기로 결심한다. 이 지렁이는 배추근처에 서식하며 해충을 잡아 먹음으로써 배추를 보호한다. 특히, 어떤 배추에 배추흰지렁이가 한 마리라도 살고 있으면 이 지렁이는 인접한 다른 배추로 이동할 수 있어, 그 배추들 역시 해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한 배추의 상하좌우 네 방향에 다른 배추가 위치한 경우에 서로 인접해있는 것이다. 한나가 배추를 재배하는 땅은 고르지 못해서 배추를 군데군데 심어 놓았다. 배추들이 모여있는 곳에는 배추흰지렁이가 한 마리만 있으면 되므로 서로 인접해있는 배..

1120번 문자열

문자열 문제 길이가 N으로 같은 문자열 X와 Y가 있을 때, 두 문자열 X와 Y의 차이는 X[i] ≠ Y[i]인 i의 개수이다. 예를 들어, X=”jimin”, Y=”minji”이면, 둘의 차이는 4이다. 두 문자열 A와 B가 주어진다. 이때, A의 길이는 B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다. 이제 A의 길이가 B의 길이와 같아질 때 까지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할 수 있다. A의 앞에 아무 알파벳이나 추가한다. A의 뒤에 아무 알파벳이나 추가한다. 이때, A와 B의 길이가 같으면서, A와 B의 차이를 최소로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A와 B의 길이는 최대 50이고, A의 길이는 B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고,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출력 A와 B의 길이가 같으면서, ..

분할정복 알고리즘 + 문제풀이: 2630: 색종이 만들기, 1780: 종이의 개수

1780: 종이의 개수 분할정복의 대표 문제로 분할정복 알고리즘에 대해서 알아보자! 분할정복이란? 기존 문제를 작은 부분문제로 나눔 원래 문제와 성격이 동일하고, 분할된 작은 문제는 입력 크기만 작아진 것이다. 분할된 문제는 서로 독립적이라는 특징이 있고, 분할 정복 알고리즘을 3단계로 나눠볼 수 있다. 1. 분할: 문제의 입력들을 작은 사례로 분할하는 것. 기존의 문제 입력들과 똑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다. - 분할 내 세부 케이스로 Base case, Recursive case로 나눌 수 있는데 다음과 같다. a. Base case: 이미 문제가 충분히 작아서, 더 작은 부분문제로 나누지 않아도 바로 문제를 알 수 있는 경우 b. Recursive case: 문제가 커서 바로 답을 몰라 같은 형태의 부..

2164번 카드2

문제 N장의 카드가 있다. 각각의 카드는 차례로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으며, 1번 카드가 제일 위에, N번 카드가 제일 아래인 상태로 순서대로 카드가 놓여 있다. 이제 다음과 같은 동작을 카드가 한 장 남을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우선,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바닥에 버린다. 그 다음,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제일 아래에 있는 카드 밑으로 옮긴다. 예를 들어 N=4인 경우를 생각해 보자. 카드는 제일 위에서부터 1234 의 순서로 놓여있다. 1을 버리면 234가 남는다. 여기서 2를 제일 아래로 옮기면 342가 된다. 3을 버리면 42가 되고, 4를 밑으로 옮기면 24가 된다. 마지막으로 2를 버리고 나면, 남는 카드는 4가 된다. N이 주어졌을 때, 제일 마지막에 남게 되는 카드를 구하는 프로..